Bank-End Chronicles

「Memory gets GC’d, but this blog stays committed.」

Javascript, CSS - Modal

Modal

모달창 만들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DOCTYPE html> <html> <head> <title>Parcel Sandbox</tit...

2월 1일 (월)

context api를 배우다

오늘 한 일 Navigation/SearchItem의 검색 키워드를 어떻게 App의 Context API로 올려보낼지 고민중이었는데, 중첩 context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import Profile from "./...

알고리즘 - 선택정렬

선택정렬에 대해서

선택정렬 선택정렬 : 다음으로 작은 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제자리로 바꾸는 과정을 반복 가장 작은 카드를 찾아서 첫 번째 카드와 바꿉니다. 두 번째로 작은 카드를 찾아서 두 번째 카드와 바꿉니다. 세 번째로 작은 카드를 찾아서 세 번째 카드와 바꿉니다. 배열이 정렬될 때까지 그 다음으로 작은 카드를 올바른 위치로 ...

1월 29일 (금), 1월 30일 (토), 1월 31일 (일)

리액트 프로젝트를 다시 들여다보다

오늘 한 일 React 프로젝트를 다시 수정하고 있다. 먼저 tab의 인덱스를 받아서 베스트셀러 탭과 신간도서 탭을 관리하고자 tabContents를 배열로 바꾸고 map으로 tab을 랜더링했다. 그리고 useState를 사용해 tab의 인덱스를 관리해주도록 만들었다. tab은 잘 작동하지만 불필요한 코드가 생겨난 것 같아 리팩토링이 필요...

React - context API

context api에 대해서

콘텍스트 API로 데이터 전달하기 상위 컴포넌트 ->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 전달 시 속성값이 사용된다. 많은 수의 하위 컴포넌트로 속성값을 내려줄 때는 코드를 반복적으로 작성해야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 때 context API를 사용하면 컴포넌트의 중첩구조가 복잡한 상황에서도 비교적 쉽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context API를...

1월 28일 (목)

새로운 프로젝트를 기획하다

오늘 한 일 어떤 프로젝트를 할지 기획하다보니 구현해보고 싶은 기능들이 많아진다. 탈 없이 잘 작동하는 모습이 보고싶다.

1월 27일 (수)

좋은 리소스를 찾는 행운

오늘 한 일 오픈 api를 알아보고 있다. 전에 해보지 않았던 기획으로 재밌게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다.

Express - RESTful, GET. POST

RESTful에 대해서

Defining RESTful Routes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ource의 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컴퓨터가 가진 자원의 상태. 파일/데이터베이스 등을 자원이라고 함. 상태 = 정보) 전달 HTTP Method를 통해 Resource를 처리하기 위한 아키텍쳐 PI 작동 ...

1월 26일 (화)

리액트 책을 보기 시작하다

오늘 한 일 node.js의 dynamic HTML templating을 알게 되었고, ejs문법과 app.render등 정말 중요한 부분을 배웠다. khan아카데미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어 좋다. 개념을 이해하고 바로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짜볼 수 있게 수업이 진행되어서 잘 짜여진 수업이라는 생각이 ...

React - Flux architecture

flux에 대해서

Flux architecture Flux란?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패턴. Flux와 React는 함께 사용할 수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둘 다 Facebook이 가진 특정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됐다. 연원 Facebook은 ‘읽지 않은 메세지’에 메세지가 오지 않았는데도 알림이 뜨는 문제를 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