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k-End Chronicles

「Memory gets GC’d, but this blog stays committed.」

Java - 면접질문(JVM)

면접 대비를 해보자

JVM (Java Virtual Machine) 스택 기반의 가상 머신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클래스 로더를 통해 읽어들여 자바 API와 함께 실행한다. Java가 OS에 구애받지 않고 재사용 가능하게 해준다. 메모리 관리, 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한다. 자바 바이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주체다. 자바 프로그램 ...

Spring - 면접질문 모음

면접 대비를 해보자

MVC 패턴 SpringMVC란 무엇인가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한 패턴. 사용자가 controller를 조작하면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표현을 담당하는 view를 제어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M...

Java - 면접질문(final 키워드, 접근제어자)

면접 대비를 해보자

Java final 키워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각각의 쓰임에 따라 어떻게 동작하나요? (Class, Variable) final 키워드 final class : 다른 클래스가 상속받지 못한다. final method : 자식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의 final method를 오버라이드 하지 못한다. final variable...

Java - 면접질문(기본형과 참조형, wrapper class)

면접 대비를 해보자

Primitive Type 기본형 타입 변수에 값 자체를 저장한다. stack영역에 생성된다.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선언되어야 한다.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자료형에 맞는 기본 값이 들어간다. OS에 따라 자료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다. 비객체 타입이다. null을 가질 수 없다. 정수 byte, short, int, long ...

알고리즘 - 조합

순서 없이 r개 뽑기

조합 n개의 숫자 중 r개의 수를 순서 없이 뽑는 경우 순열과의 차이점 :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조합 구현 - 완전탐색 완전탐색으로 현재 인덱스를 선택하는 경우와 선택하지 않는 경우를 구현하면 된다. 백트래킹으로 구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호출시 combination(arr, visited,...

9월 27일 (월)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스터디

코딩테스트와 실무 역량 모두잡는 알고리즘 스터디(JAVA) 이번주부터 임팩트 커리어의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프로그래머스의 알고리즘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동안 얼렁뚱땅으로 쓴 코드를 왜 그렇게 쓰면 안 되는지,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인 코드를 쓸 수 있을지 리뷰를 받을 수 있다. PR 남기고 코드리뷰 받기 어떻게 풀었는지, 어떤 부분을 리뷰해주면...

Java - 면접질문(OOP)

면접 대비를 해보자

객체 지향 방식을 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이전에 정리했던 포스팅 참고 Spring - 객체지향 SOLID 5원칙 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으로, 객체 지향적인 프로그래밍을 뜻한다. OOP는 객체를 기준으로 코드를 나누어 구현하는데, 자바는 클래스 단위로 객체를 표현한다. 클래스는 설계...

9월 20일 (월)

문득

일기장이 되어버린 TIL😅 오늘은 일일 커밋 263일째다. (방금 네이버가 계산을 해 준 디데이 카운트다.) 문득 생각해보니, 내가 집중하고 싶은 것들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었던 올 해의 날들, 263일이 알알이 소중하게 느껴진다. 스스로 원하는 것을 찾아내고, 이를 실천할 시간과 여유를 올 한 해동안 누릴 수 있었다는 것은 굉장한 행운이었다. ...

Java - stream

스트림 메소드 모음

스트림 파이프라인 Pipeline 프로세서로 가는 명령어들의 움직임을 의미 연산을 여러개의 stage로 분할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고속화를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볼 수 있다. Reduction 대량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축소하는 것. 리덕션의 결과로 데이터 합계, 평균, 카운팅, 최댓값, 최솟값 등을 얻을 수 있다. -> 최...

알고리즘 - 소수 구하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를 구하는 방법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i = 2부터 √N 이하까지 반복하여 자연수들 중 i를 제외한 i의 배수들을 제외시킨다. 소수를 판별할 범위만큼 배열을 할당해 그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넣어줌 2부터 시작해서 특정 숫자의 배수에 해당하는 숫자들을 모두 지움 (2, 3, 5등의 자기 자신은 지우지 않음). 이미 지워진 숫자는 건너...